도로 위험상황 알려주는 ‘똑똑한 가로등’ 만든다

0

인적이 드문 새벽 시간 빗길 운전은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융합한 인공지능 도로조명을 통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가로등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국토교통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와 공동으로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융합한 인공지능 도로조명은 과속, 급차로 변경 등 교통사고 위험차량을 식별하고 이동경로 추적을 통해 이동경로 상의 주변 차량, 신호등 및 도로조명에 사고위험 정보를 전파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보를 받은 횡단보도에 설치된 도로조명은 차세대 LED 조명기술을 활용한 횡단보도 발광 표시장치와 디지털 사인을 이용, 어두운 도로 위에 선명한 횡단보도와 위험차량 접근 안내 문구·음성을 나타내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운전자의 차량에는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방 300m 내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고, 디지털 사인을 이용해 감속유도 및 전방 횡단보도 위치를 안내하는 것입니다.

또한 빗길과 속도로 인해 차량이 제동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경우 인공지능 엣지컴퓨터가 인근 교차로 신호등을 적색으로 전환해 추돌사고를 예방합니다.

본 사업은 도로상 가로등의 기능을 불빛만 비춰주는 단순한 조명이 아닌 각종 도로환경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 저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올해부터 ’23년까지 4개 부처가 26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공동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는 가로등과 같은 도로조명에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상 위험상황을 직접 수집·판단하여 ‘디지털 사인’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I2X기술(인프라와 사물 간 무선통신)로 주변 행인과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횡단보도나 교차로, 터널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즉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국토부에서는 도로조명 플랫폼에서 제공할 서비스 전략수립과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총괄업무를 수행하고, 정보처리·통신 플랫폼(과기부), 멀티센서 융합 도로조명 시스템(산업부), 도시재난안전관리 연계기술(행안부) 등 부처별 업무를 분담하여 추진할 예정입니다.

국토부 첨단도로안전과 강성습 과장은 “이번 사업이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안전 시설물이 부족한 국도·광역시도 등 도심 내 사고 다발지역에 맞춤형 안전 컨트롤 타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면서, “스마트시티 등과 연계한 한국형 표준 도로조명 플랫폼으로 시범 적용되어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Magic@autoissue.co.kr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