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고성능 브랜드 N이 온라인을 통해 ‘아반떼 N’의 완전한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아반떼 N은 2020년 4월 출시한 ‘올 뉴 아반떼’의 고성능 모델인데요. 기본차가 지닌 스포티한 면모 위에 강인하고 역동적인 주행 감성을 조화롭게 갖춰낸 것이 특징입니다.
아반떼 N은 기본차의 도전적인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하는 성능 향상 부품들을 대거 적용함으로써 한껏 역동적이고 공격적인 모습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전면부는 기본차 대비 블랙트림부를 확대하고 범퍼 하단부를 낮게 가로지르는 립 스포일러가 고성능의 안정적인 스탠스를 구현해줍니다. 측면부는 앞 범퍼부터 이어지는 N 전용 레드 스트립의 연결감이 한층 더 낮은 자세를 완성해주어 금방이라도 앞으로 치고 나갈 것 같은 모습을 갖췄습니다.
후면부에서 가장 눈에 띄는 N 전용 윙타입 스포일러는 사이드 스커트, 리어 디퓨저와 함께 주행 시 부딪히는 공기를 정돈해주는데요. 최적의 공력 성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고성능 차의 차별화된 캐릭터를 더욱 부각시켜줍니다. 또한 마치 F1 포뮬러카를 연상시키는 역삼각형 타입의 N 전용 리플렉터와 듀얼 싱글 머플러가 고성능 이미지를 깔끔하게 매듭지어줍니다.
실내는 N 스티어링 휠, N 쉬프터, N 시트, N 도어스커프, 메탈 페달 등 곳곳에 N 브랜드 전용 아이템을 적용하며 N 패밀리 룩을 실현했을 뿐 아니라, 일상 주행부터 역동적인 주행까지 운전자가 편안히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적의 운전 환경을 조성하는데 주안점을 뒀습니다.
패들 쉬프터를 적용한 스티어링 휠은 최대 20초 동안 10마력의 출력을 끌어올리는 NGS 버튼(DCT 전용)과 함께 운전 스타일 별로 원하는 드라이브 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는 2개의 N 버튼을 배치해 어떠한 주행 환경에서도 최적의 셋업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N 시트는 측면 볼스터 부분을 강화해 급격한 코너링 중 강한 횡가속도가 발생하더라도 상하체를 굳건히 지지해 항시 안정적인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여기에 N 엠블럼 조명을 장착하고 기본 사양 대비 시트 포지션을 10mm 하향한 N 라이트 버킷 시트를 옵션으로 운영해 고성능 감성과 운전성을 추구하는 고객까지도 배려했습니다. 또, 기본 모델 대비 시트 백 두께가 50mm 축소돼 동급 최고의 후석 거주성이 더욱 돋보입니다.
아반떼 N은 2.0T 플랫 파워 엔진을 장착했습니다. 이 엔진에 탑재한 터보 시스템은 기존 대비 지름을 5mm 증대한 52mm의 터빈 휠과 2.5㎟ 만큼 면적을 증대한 12.5㎟의 터빈 유로를 적용했습니다. 또, 실린더 블록의 형상 및 재질 개선 등을 통해 엔진의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끌어올린 것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약 5,500rpm부터 최대출력을 유지시켜주는 플랫 파워 특성을 적용해 가속구간에서 아반떼 N의 잠재력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반떼 N은 플랫 파워 엔진에 8단 습식 DCT(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적용해 최고출력 280마력, 최대토크 40kgf·m의 동력성능을 갖췄습니다. N 그린 쉬프트(NGS)를 작동할 경우 터보 부스트압을 높여줘 최대 290마력까지 출력을 일시적으로 향상시켜 줍니다. 이로써 N 라인업 중 최고 수준인 250km/h의 최고속과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5.3초만에 주파가 가능할 정도의 강력한 주행성능을 완성했습니다.
여기에 고성능 특화 기능인 N 코너 카빙 디퍼렌셜(e-LSD, 전자식 차동제한장치), 능동 가변 배기 시스템, 런치 컨트롤 등을 기본 적용했습니다. DCT 모델의 경우 N 그린 쉬프트(NGS), N 파워 쉬프트(NPS), N 트랙 센스 쉬프트(NTS)까지 기본 사양으로 제공해 운전의 즐거움을 극대화했습니다.
잘 달리는 주행성능만큼이나 제동 성능에도 신경을 썼는데요. 360mm 직경의 대구경 브레이크 디스크에 고 마찰 패드를 적용해 고성능 차량에 걸맞은 동급 최고의 제동 성능을 확보했습니다. 나아가 냉각 효율 향상을 위한 브레이크 에어 가이드 구조와 함께 더스트 커버에 냉각용 홀을 적용하고 면적 또한 최적화함으로써 가혹한 주행에서도 일관된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반떼 N에는 N 최초로 구현된 기능들도 눈에 띕니다. WRC 랠리카에 적용한 액슬 일체형 기술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전륜 기능 통합형 액슬(IDA, Integrated Drive Axle)을 N 최초로 적용했습니다. 휠 조인트와 허브의 일체화로 부품 수를 축소해 대당 약 1.73kg의 중량을 절감했는데요. 조립 구조 단순화와 휠 베어링 횡 강성 증대로 차량 핸들링 한계 성능을 향상했습니다.
엔진룸 내 흡기 관련 부품 또한 일체화해 중량 절감과 함께 흡입 압력(저항)을 약 10% 이상 저감함으로써 엔진 반응을 더욱 예리하게 가다듬었습니다. 파워트레인 마운트 형상 최적화를 통해 주행 중 파워트레인과 차체의 일체감을 향상하고 핸들링 응답성을 끌어올렸습니다. 전륜 서스펜션에 현대차 최초로 듀얼 컴파운드 인슐레이터를 적용했습니다. 벨로스터 N 부터 적용했던 듀얼 컴파운드 트레일링암 부시와 함께 전후·좌우 방향 별 운동 특성을 분리하여 민첩한 핸들링과 승차감, NVH 저감 등 상충되는 성능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이 외에도 바디 강성 강화를 위해 기존 구조 대비 1점이 추가된 4점식 스트럿링 및 노출형 리어 스티프바를 적용하고, 토크 피드백 랙 구동형 전동식 파워스티어링(R-MDPS)을 적용함으로써 운전자 조향 토크를 항시 모니터링하고 이를 제어해 주어 외부 환경 변화 시에도 일관된 조향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N 최초로 적용한 고성능 미쉐린 PS4S 타이어(245/35R19)는 아반떼 N의 역동적인 주행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운전의 즐거움을 위해 한 차원 진화한 가상 엔진 사운드, N 사운드 이퀄라이저(NSE, N Sound Equalizer)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TCR 경주차 사운드 등 현대차 모터스포츠를 대표하는 주행 사운드를 제공할 뿐 아니라, 개인 취향을 고려해 화인(Whine), 럼블(Throat), 엔진 메인(Bass) 세 가지 음역 별 세부 사항 조정이 가능한 이퀄라이저 기능도 함께 탑재했는데요. 이로써 운전자는 주행 중 실제보다 더 실감 나는 다이나믹한 엔진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팝콘 사운드’와 ‘뱅 사운드’를 구현해 주는 능동 가변 배기 밸브를 기존 3단 제어 방식에서 선형 제어 방식으로 보강해 공회전 시 부밍음은 저감하고, 동시에 N의 압도적인 사운드는 유지시켜 운전자의 즐거움을 끌어올려 줍니다.
기존 벨로스터 N 차량에 3분으로 설정되어 있던 N 그린 쉬프트(NGS) 재활성화 시간을 40초로 대폭 단축했습니다. 또한 엔진, 스티어링, 서스펜션, 레브 매칭, 전자식 차동제한장치(e-LSD), 차량자세제어장치(ESC), 배기 사운드 등 총 7가지 항목을 운전자 취향에 맞춰 조절 가능한 맞춤형 주행모드를 2개까지 저장하고 이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두 개의 N 버튼에 각각 매칭할 수 있습니다.
아반떼 N의 판매가격은 MT 사양 3,212만원, DCT 사양 3,399만원입니다.
stiboxer@naver.com
- 우주비행 지원한 랜드로버…”우주 여객기 견인 쯤이야”
- “450마력·제로백 3.9초”…아우디 RS 5 스포트백 국내 첫 선
- BMW, 7월 온라인 한정 에디션 4종 출시
- 카니발 하이리무진 4인승 모델 출시…’발 마사지기 탑재’
- 제네시스, 유럽 겨냥한 ‘G70 슈팅 브레이크’ 세계 최초 공개